제주칼호텔 희망퇴직 권고…노조 "일방적 정리해고" 규탄

제주칼호텔 희망퇴직 권고…노조 "일방적 정리해고" 규탄

사측 "최대한 고용보장 등 직원 피해 최소화 노력"

기자회견 모습. 고상현 기자기자회견 모습. 고상현 기자40년 넘게 제주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한 제주칼(KAL)호텔이 오는 4월 끝으로 문을 닫는 가운데 사측이 전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종용해 노조와 시민사회단체에서 크게 반발하고 있다.
 
3일 제주지역 27개 시민사회‧노동단체로 이뤄진 '제주칼호텔 매각 중단을 위한 도민연대'에 따르면 전날(2일) 제주칼호텔 측은 전체 직원 300여 명에게 희망퇴직 신청을 받겠다고 공고했다.
 
이에 대해 도민연대 측은 "사측의 일방적인 정리해고 강행"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도민연대는 이날 제주칼호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사측에 영업중단으로 인한 조합원 신분 변동과 관련해 고용을 보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여러 차례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측은 오직 강제퇴직 이외의 다른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는 단체협약에 근거한 노조의 협의를 사실상 거부하는 것이다. 사측이 단체협약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제주칼호텔 노동자 300명에 대한 정리해고를 단행하겠다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도민연대는 "우리 노조는 일관되게 매각을 피할 수 없다면 건전하게 호텔업을 운영할 수 있는 업체에 매각할 것을 요구했지만, 현재까지도 계약이 지지부진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둘러 호텔 영업을 종료하고 노동자를 거리에 내쫓는 한진자본의 속뜻은 무엇인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는커녕 노동자의 목숨 줄을 죄고 있는 한진자본을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기자회견 직후 사측은 보도 자료를 통해 "제주칼호텔 자산 매각 결정 이후 직원들의 고용 관련 문제에 대한 노사 간 협의를 지난달 9일부터 4차례에 걸쳐 진행해왔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인위적인 감원과 직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한다. 우선 자발적인 희망퇴직을 시행하고 희망퇴직 인원이 필요 감원 인원을 초과하면 더는 감원 논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회사는 기본급 20개월분을 연령과 근속 기간에 상관없이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들에게 일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다른 호텔에 비해 월등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사측은 마지막으로 "어려운 여건에도 서귀포호텔로의 최대한 고용 보장, 희망퇴직 직원에 대해서는 최고 수준의 보상을 통해 직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4일 한진그룹 계열사인 칼호텔네트워크는 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오는 4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제주시 이도1동에 있는 제주칼호텔 영업을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칼호텔네트워크는 이사회를 열고 제주칼호텔(부지 1만2525㎡‧연면적 3만8661㎡)을 처분하기로 의결했다. 처분 목적은 '부채 상환'으로 평가액은 687억2173만 원이다.
 
현재 KAL호텔네트워크는 모 자산운용회사와 호텔 매각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지난 1974년 준공된 제주KAL호텔은 40년 넘게 제주도의 랜드마크로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현재 제주KAL호텔에는 카지노를 포함해 근로자 380여 명이 종사하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제주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