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가파도 고중량 배송 드론. 제주도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제주도가 드론을 활용한 실종자 수색과 안전사고 예방, 부속섬 배송 등에 본격 나선다.
제주도는 국토교통부 지정 전국 최대규모(1283㎢)의 '드론특별자유화구역'사업을 본격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 2021년 6월 1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데 이어 2·3차 연장으로 2027년 6월까지 드론 규제 특례인 시험비행허가이나 안전성인증, 비행승인, 특별비행의 승인에 나설 방침이다.
올해는 우선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사업이 추진된다.
제주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하고, 유관기관에 배포해 실제 실종사건이 발생하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을 지원한다.
또 4시간 이상 체공한 유선 드론을 활용해 안전사고와 교통상황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인파밀집도와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해당 기술은 '2024 제주 워터밤', '성산 조개바당축제', '2025 도민체전' 등의 행사에서 시범 활용됐고, 하반기 주요 행사에도 확대 적용된다.
국토교통부의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과 연계해 부속섬 대상 드론 배송 서비스도 확대 운영한다.
배송 중량과 배송함 크기, 운영 시간 등을 확장하고, 제주산 특산물인 성게알과 활전복 등의 유통 활성화를 위해 공공배달앱 '먹깨비'와의 협업도 강화한다.
8월부터는 드론 배송 거점인 드론배송센터에서 탑승형 드론 관광 체험 서비스도 운영한다.
금능포구(8~9월), 알뜨르 비행장(10~11월)에서 진행되는 관광 체험은 드론 움직임에 맞춰 흔들리는 의자에 착석한 참가자가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짐벌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시청하는 방식으로, 실감나는 관광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주도내 공공용 드론을 대상으로 드론 성능점검 패드를 활용한 성능 진단 시스템도 운영한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드론의 유지보수 계획과 활용 방안을 제시해 드론의 안정성과 운용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제주도는 드론 기체에 대한 사전 안전 테스트와 보안 점검을 완료했고, 사업별 유관 부서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드론 기반 행정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드론특구 3회 연속 지정을 달성하고 드론 산업 선도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상용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