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완순 할머니가 4·3 당시 밭에 끌려갔을 때 모습을 그린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고상현 기자"'계엄'이란 단어 듣고 밤에 한숨도 못 잤수다(잤습니다)." 제주시 북촌리에 사는 고완순(85) 할머니는 4일 CBS노컷뉴스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전날 밤 갑작스레 이뤄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떨리는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70여 년 전 4·3 당시 9살 소녀였던 고 할머니는 군경이 북촌리 주민 300여 명을 총살한 사건에서 살아남은 희생자다. 이 사건은 현기영 소설가가 쓴 '순이삼촌'의 모티프이기도 하다.
이승만 정부는 도민을 빨갱이로 몰아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후 중산간 마을을 초토화시킨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을 진행했으며 해안마을 주민도 학살했다.
그런 탓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고 할머니에게 간신히 아물었던 생채기에 다시 피가 스미게 했다. 자신의 동생과 친구, 이웃을 학살했던 명분이 계엄령 선포였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 역시 계엄령 선포 이유로 '종북세력 척결'을 들며 해묵은 이념 논리를 꺼냈다.
4·3평화공원 내 행방불명인 묘역. 고상현 기자고 할머니는 "우리 죽일 때도 계엄령을 선포하고 죽였다. 몽둥이로 패서 죽이고 대창으로 난도질해서 죽였다. 종북세력이 뭐냐. 자기 권력 지키려고 내세운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4·3 때는 제주도에만 계엄령을 선포했지만, 어제(3일)는 전 국민을 이념 대립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지금은 해제됐지만, 걱정돼서 계속 뉴스만 본다"고 했다.
4·3 당시 부모를 모두 잃고 한평생 학살 고아로 살아온 오순명(81) 할아버지 역시 "70여 년 전 4·3 때나 지금이나 이념 대립이 반복되고 있는 것 같아서 가슴이 아팠다"며 가슴을 쳤다.
"지금 계엄령 내릴 상황이 아닌데 탄핵이니 특검이니 얘기가 나오니 충동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한 게 아닐까 싶다. 이랬을 때 국민의 삶과 두려움은 생각도 안 한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날 도내 30여 개 노동‧시민사회‧정당단체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임기환 민노총 제주본부장은 "포고령을 보고 4·3 시기 수많은 도민을 학살한 불법 계엄이 떠올랐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계엄은 반헌법적이며 반민주적이고 반역사적인 폭거"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