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여순항쟁 70주년 기념 토론회

제주4·3-여순항쟁 70주년 기념 토론회

제주4.3 희생자를 추념하는 유족들(자료사진)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을 맞아 기념토론회가 열린다.

제주4.3도민연대(대표 양동윤)는 오는 6일 오후 3시 제주시 허니크라운호텔에서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와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를 개최한다.

4·3 당시 목포형무소에는 군사재판 외에도 일반재판 수감자도 함께 수감됐다.

특히 1949년 9월 14일에 발생한 목포형무소탈옥사건 등으로 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역사를 지닌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과 탈옥사건에 연루돼 희생되었던 도민들에 대해 보고한다.

현재 제주지방법원에서는 역사적인 4·3재심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가 다가기 전에 최종 선고에 이르기를 희생자 유가족들은 바라고 있다.

이처럼 재심에 이르기까지는 4·3도민연대의 '제주4·3수형인 실태조사'사업이 큰 역할을 했다.

또 지난해 수행한 '제주4·3 목포형무소수형인 실태조사' 결과도 이날 보고한다.

올해는 4·3 70년이기도 하지만 당시 여수 14연대의 제주출병 거부 의거, 7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당시 목포형무소 제주도민 수감자들은 부천형무소, 김천형무소, 대구형무소까지 이감되었고 대다수가 한국전쟁 이후 행적을 알 수 없게 됐다.

수형인 명부에 목포형무소가 복역장소로 명시된 671명의 제주도민들의 가슴 아픈 '목포형무소 수형자 실태조사결과' 를 보고한다.

1948년 10월 19일 제주4·3을 진압하기 위한 출병 지시에 ‘동족의 학살을 거부한다' 며 출병을 거부한 여수주둔 14연대의 항쟁과 이로 인한 여순지역의 처절했던 고난을 잊지 않기 위해 여수지역 전문가와 함께 토론회가 열린다.

제1부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는 강미경 4·3조사연구원이 한다.

이어서 제2부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는 제주대 조성윤 교수의 사회로 주철희 여순사건 연구가가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박찬식 제주학연구소장과 현덕규 변호사, 최성문 순천대학교 여순연구소 연구원이 토론한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제주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